최초 게시: 2025-09-28 · 최신 업데이트: 2025-09-28
Ⅰ. 실전 탐색 루트: 어디서 무엇을 볼까요
- 대학 입학처 공식 홈페이지: 전형계획·모집요강 PDF, 과목 반영 비율·가산점·우대 과목 표기 확인
- 통합 안내 포털: 대학별/전형별 반영 과목·가중치·가산점 요약 비교
- 학교 자료: 진로진학부 안내, 전년도 합격 사례 요약(경향 파악용)
팁: 같은 정보라도 표기 방식이 다릅니다. “반영 과목”과 “우대/권장 과목”, “가중치”와 “가산점”을 구별해 보셔야 합니다.
Ⅱ. 30분 완성: 5단계 작업 순서
- 목표 전공·대학 3~5곳 선정 후 북마크 폴더를 만듭니다.
- 입학처 전형계획/모집요강에서 “과목 반영·가산점·우대 과목” 섹션만 빠르게 스캔합니다.
- 통합 포털에서 같은 대학·전형을 조회하여 수치/표현 차이를 교차검증합니다.
- 비교표 템플릿에 핵심 수치만 옮겨 적고, 최종 확인일을 기록합니다.
- 불명확 항목은 입학처 Q&A/전화로 확인하고, 답변 요지를 각주로 남깁니다.
중요: “가산점”은 수능/교과 성적에 가점을 주는 형태, “선호/우대 과목”은 이수 시 평가에 긍정 신호를 주는 경향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문구를 정확히 확인하세요.
Ⅲ. 비교표 템플릿(바로 복붙)
아래 표를 복사해 사용하시고, 대학/전형/과목명/가산점/반영 비율/특이사항과 최종 확인일을 꼭 남겨주세요.
대학 | 전형(계열) | 반영 과목/영역 | 우대·선호 과목 | 가산점/가중치 | 특이사항 | 최종 확인일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예시대 | 학생부교과(자연) | 수학·과학 | 미적분, 물리Ⅱ | 과탐Ⅱ 5% 가산 | 동일 계열 과목 유리 | 2025-09-28 |
샘플대 | 학생부종합(공학) | 전 교과 | 수학 심화, 공학일반 | 수학 심화 A등급 가중 | 활동 연계 중요 | 2025-09-28 |
표를 작성하신 후, 원문 출처 링크(입학처 PDF/포털 결과)를 각 대학명에 하이퍼링크로 걸어두시면 관리가 쉬워집니다.
Ⅳ. 전공 트랙별 해석 포인트
자연·공학
- 수학(미적분/기하)·과탐Ⅱ 이수/성취는 상향 대학에서 긍정 신호가 됩니다.
- 실험·프로젝트 과목과 연계하여 산출물/세특 기록이 있으면 더욱 유리합니다.
의·약학
- 생명·화학 심화 및 실험 과목의 성취도와 탐구보고서 품질이 중요합니다.
- 가산점 여부와 함께 과탐 선택 조합의 제한사항을 꼭 확인하십시오.
인문·사회/경영
- 수학(확률과 통계)·경제수학·데이터 분석 이수가 정량 역량을 보여줍니다.
- 논증/토론, 사회과제탐구의 기록을 실증 근거와 함께 남기면 좋습니다.
소프트웨어/데이터
- 정보/프로그래밍/데이터 과목 + 실제 코드/리포지터리 링크가 강력한 신호입니다.
- 수학(미적분/기하/통계) 심화와 프로젝트 산출물의 재현 가능성을 강조하십시오.
예체능
- 전공 실기·이론 과목 이수와 작품 포트폴리오의 연계가 핵심입니다.
- 작품 의도–기법–피드백 반영 과정을 문서화하시기 바랍니다.
Ⅴ. 변경사항·주의사항 체크리스트
- 연도/개편: 전형계획과 모집요강의 연도 표기, 개편 유무 확인
- 표현 차이: “가중치” vs “가산점”, “우대/권장” vs “필수” 구분
- 반영 비율: 교과/수능/비교과 반영 범위·비율
- 선택 조합: 동일 계열 과목 인정 범위, 과탐Ⅱ 조합 제한
- 문의 로그: 전화/이메일 답변 날짜·담당자·요지 기록
- 최종 확인일: 표·문서에 날짜 표기(업데이트 시 함께 수정)
Ⅵ. 미니 케이스 2개(예시)
케이스 A: 공학志
목표 대학 3곳에서 수학 심화·과탐Ⅱ 가산점/우대 여부를 비교했고, 과탐Ⅱ(물리Ⅱ) 이수 시 상향 지원 대학 2곳에서 유의미한 가산이 확인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과목 조합을 “미적분+물리Ⅱ+공학일반”으로 확정하고, 실험·프로젝트 산출물 계획을 병행했습니다.
케이스 B: 경영志
확률과 통계/경제수학 이수와 통계·데이터 과목 가산/우대 여부를 확인했습니다. 통계 과목 우대 경향이 있어 “확통+데이터 분석 기초+토론·논증” 조합으로 수정하고, 지역 상권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산출물로 준비했습니다.
Ⅶ. FAQ
- Q1. 포털 정보와 입학처 문구가 다르면 어느 쪽을 믿어야 할까요?
- 최종 기준은 입학처 공식 문서입니다. 포털은 요약본이므로 교차검증 후 공식 문구를 우선하시고, 확인일을 기록해두십시오.
- Q2. 가산점이 없는 대학에서도 선호 과목이 의미가 있나요?
- 있습니다. 정량 가산이 없어도 전공적합성·학업역량 평가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- Q3. 연도별 변경이 잦아 관리가 힘듭니다.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?
- 비교표에 “최종 확인일” 열을 두고, 분기별 재확인 루틴을 달력에 등록해두시면 효율적입니다.
- Q4. 우리 학교에 필요한 과목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?
- 공동교육과정·온라인 공동과정으로 보완하시고, 상담 시 대체/보완 과목 매칭표를 제시하시면 반영 가능성이 높습니다.
본 글은 전형/요강 업데이트에 따라 수시로 개정됩니다. 마지막 확인: 2025-09-28.